본문 바로가기
뭔가 쓰고 싶을 때 쓰는 일기

한국의 정월대보름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y 당신의 보물창고 2023. 2. 3.
728x90
반응형

<a href="https://www.freepik.com/free-photo/side-view-bowl-with-walnuts-rustic_8446132.htm#query=walnut&from_query=%ED%98%B8%EB%91%90&position=6&from_view=search&track=sph">Image by stockking</a> on Freepik
#부럼깨기

안녕하세요~~ DON 꼬레아 입니다.

오늘은 양력 2월 3일,음력 1월13일 금요일입니다.

이틀후면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입니다.

 

한국에는 설날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 명절이 있습니다.어렸을 적 저에게는 정월대보름은 명절은 아니고 명절 사이에 끼어있는, 그저 아침에 일어나면 어른들이 식사 때 '일년동안 부스럼 없이 건강하게 지내고 죽을 때까지 귀 어둡지 않게 살아라'하시면서 호두나 견과류들을 깨서 주시고 초등학생인 자식에게도 청주도 살짝 한모금 마시게하는 그런 날이었습니다.

옆사람에게 '내 더위 사가라'하고 도망가면 일년내내 더위를 안탄다는 그런 날입니다.

찬물을 마시면 안되는 날입니다.그리고 잠들면 눈썹이 하얘지는 그 날입니다.대한민국 명절중에 이렇게 무슨 행사나 미신이 많은 날도 없지 싶습니다.

 

정월대보름은 방금 말씀드린 그런 미신 같은 것들이 있긴하지만 가족간의 서로의 건강을 빌어주고 또 밥상 앞에 모여서 함께 밥 먹을 수 있게 해주던 날이었습니다.그래서 돌아보면 의미가 있는 날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대보름에도 원래는 행사들을 했었는데 요즘은 잘 모르겠습니다.단지 강원도 삼척에는 '정월대보름제'가 유명하다는 것만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도시에서는 큰명절들 위주로 지내다 보니 작은 절기나 행사같은 것은 많이 퇴색하고 사라져서 아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참 슬픈 일이긴하지만 세상이 세월이 많이 변하고 바뀌었으니까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요...


어쨌든 오늘은 정월대보름의 유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의 기원은 삼국시대(기원전 57년 - 서기 66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그리고 수천 년 동안 한국에서 기념되어 왔습니다. 고대에는 명절을 겨울이 끝나고 봄이 오는 것을 축하하는 날로 여겼습니다. 사람들은 조상에게 기도를 드리고 잔치와 전통 활동을 축하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대보름과 관련된 가장 주목할만한 전통 중 하나는 큰 모닥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 모닥불은 정화 효과가 있다고 믿었고 악령을 쫓고 풍작을 보장하기 위해 불을 붙였습니다. 사람들이 모닥불 주변에 모여서 불 위를 뛰어넘어 '대보름춤'이라는 춤을 췄습니다.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강원도 삼척의 정월대보름제에 가면 장작들을 거대하게 쌓아놓고 불을 피우는 큰 축제를 합니다.

축제는 약 2주간으로 '기줄다리기' '쥐불놀이' '달집태우기'등의 전통 놀이들을 합니다.

또한 이 축제는 '불의 축제'로도 유명합니다.거대한 장작을 태우는 모습이 장관이죠.

하지만 이제 이런 행사도 좀 바꿔야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봅니다.

왜냐하면 환경 파괴가 너무 심해진 현대사회에서는 이제는 바뀌어야할 풍습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도 후세들이 기억할 수 있도록 기록은 남겨야할 것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여러 가지 중요한 문화적, 역사적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절은 가족이 함께 모여 서로 좋은 시간을 보내는 시간으로 간주됩니다. 또한 사람들이 조상에게 경의를 표하고 조상의 전통과 풍습을 기억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의 또 다른 중요한 점은 농경주기와의 연관성있습니다. 명절은 새로운 성장과 새로운 시작의 시간인 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과거에 농부들은 이 시간을 사용하여 농작물을 심을 밭을 준비하고 풍작을 기원하며 신에게 제물을 바쳤습니다.

 

오늘날 정월대보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절이 바뀌고 진화했지만 여전히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기념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많은 가족들이 모여 식사를 나누고 모닥불 피우기와 대보름 춤과 같은 전통 활동에 참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이제 종종 불꽃놀이 및 콘서트와 같은 보다 현대적인 축제와 결합됩니다.

 

이러한 날들은 한국인들이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새해를 다짐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명절에는 여러가지 순기능들이 있습니다.갱신과 새로운 시작의 시간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 기회를 통해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정월 대보름은 한국인과 함께 오랫동안 한국의 문화를 품고 있던 풍요롭고 활기찬 날 입니다. 전통적인 형태로 축하하든, 보다 현대적이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축하하든, 명절은 가족이 함께 모여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고 조상과 전통에 경의를 표하는 중요한 시간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정월대보름은 혼자살고 있는 사람이라도 가족이나 주변 친구들 혹은 이웃들과 좋은 시간들을 가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멋진 하루되세요~~

 

<a href="https://www.freepik.com/free-vector/gradient-sake-illustration_31001300.htm#query=sake&from_query=%EC%82%AC%EC%BC%80&position=9&from_view=search&track=sph">Image by pikisuperstar</a> on Freepik
#귀밝이술

 

반응형

댓글